Automotive Study
ECU 소프트웨어 구조와 계층별 기능, 차량 통합 사례(가정)까지
AI Humanoid
2025. 4. 12. 19:47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자동차는 점점 더 많은 소프트웨어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전자제어장치, 즉 ECU가 있으며, 이 안에는 정교하게 나뉜 소프트웨어 계층이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설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작성하였습니다.
- ECU의 소프트웨어 계층별 구조
- BMS 기능을 예로 본 계층별 역할
- 통합 관점에서의 고려사항과 동작 흐름
- 실제 차량 개발 구조 (OEM-Tier1 간 분담) 까지 단계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
1. ECU 소프트웨어는 어떻게 구성될까?
계층구성 요소주요 역할
Application Layer | ASW | 배터리 제어, 제동 제어 등 기능 로직 수행 |
Middleware Layer | RTE | ASW와 BSW를 중계하는 인터페이스, AUTOSAR 기반 |
Basic Software Layer | BSW | 센서, 릴레이, 메모리 등 하드웨어 제어 소프트웨어 |
Hardware Abstraction Layer | MCAL | 하드웨어 종속성을 줄이는 추상화 계층 |
Hardware Layer | MCU | 실제 센싱, 연산, 제어 신호 실행하는 반도체 칩 |
이렇게 나뉜 계층은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통합되어 하나의 ECU 시스템으로 동작하게 됩니다.
2. BMS 기능별 소프트웨어 계층 역할 정리

각 계층은 독립적으로 개발되지만, 서로 정밀하게 협력해 정확하고 빠르게 기능을 수행해야 합니다.
3. 통합 관점에서 신경 써야 할 것들
데이터 흐름 | 센서값이 누락 없이 계층 간 전달되어야 함 |
주기 및 우선순위 | 타이밍 요구사항 충족 (예: 10ms 주기) |
실시간성 | 과전압 시 빠르게 릴레이 차단 필요 |
인터페이스 정합 | 함수와 데이터 구조가 일치해야 함 |
오류 감지 | 각 계층에서 예외 상황을 감지하고 복구 가능해야 함 |
예를 들어, 셀 전압이 4.3V로 상승하면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동작합니다:
- MCU가 ADC로 전압을 읽음
- BSW가 이를 인터페이스 처리
- RTE를 통해 ASW로 전달
- ASW가 과전압 판단 후 릴레이 차단 요청
- BSW가 릴레이 출력
- MCU가 실제 회로를 차단
4. 실제 차량 설계에서의 소프트웨어 구조
실제 차량에서는 완성차 업체(OEM)와 부품 업체(Tier1)가 역할을 나눠 협업합니다.
- Tier1: ECU 하드웨어(MCU), BSW, RTE, 일부 ASW 설계
- OEM: 차량 전체 요구 사항 정의, 주요 ASW 로직, 통신 구조 설계
모든 ECU는 도메인 컨트롤러 또는 차량 중앙 제어 유닛과 통신하며, 서버형 구조로 발전하는 추세입니다.
마무리하며
자동차의 기능은 이제 전자제어장치(ECU)와 소프트웨어로 구현됩니다.
이제는 로직 하나, 통신 하나도 차량의 안전과 직결되기 때문에 계층 간 협력과 통합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이 자동차 소프트웨어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